최근 잡코리아가 국내 기업 인사담당자 62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'입사 합격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스펙'이 흥미롭습니다.
입사 합격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취업스펙
- 인턴 및 아르바이트 경력 54.3%
- 관련 분야 자격증 50.6%
- 영어 회화 능력 44.5%
- 공모전 수상경력 24.4%
- 해외 어학연수 경험 16.2%
- 높은 토익ㆍ토플 점수 15.9%
- 사회봉사활동 경력 14.1%
- 동아리 활동경력 11.7%
- MBA 및 해외학위 10.6%
입사 합격 여부에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항목
- 한자시험 41.5%
- 높은 학점 34.2%
- 동아리 활동 경력 33.0%
- 사회봉사 활동 24.1%
- MBA 및 해외학위 22.2%
- 높은 토익ㆍ토플점수 22.0%
- 한국어 능력(문서작성 등) 21.2%
취업 시 필요한 부문임에도 불구하고 구직자들이 소홀히 하고 있는 것
- 대인관계 및 커뮤니케이션 스킬 56.8%
- 기획서 및 문서작성 능력 38.7%
- 비즈니스 예절 33.8%
- 기업실무 31.2%
- 프리젠테이션 능력 30.7%
- 영어회화 능력(비지니스 회화) 18.5%
(기타 의견) 공모전 수상경력 1.9%, 토익/토플 점수 4.2%, 전공이론(학점) 4.8%
출처 : 취업포털 잡코리아 www.jobkorea.co.kr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이 조사가 그동안 스펙, 스펙할 때, 항상 했던 질문인 '그게 일하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되요?'에 어느 정도 답을 해 주는 것 같습니다. 객관적으로 참고할 만한 기준이 적어서 스펙을 본다고 하지만, 업무랑 관계가 없는 것은 점수를 적게 준다는 거겠죠?
보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'커리어'에서 조사한 자료도 덧붙입니다.
채용여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스펙
‘전공’(65.3%), ‘자격증’(55.3%), ‘출신학교’(46.1%), ‘인턴십’(24.7%),
‘토익 외 공인어학점수’(16.0%), ‘학점’(13.7%), ‘봉사활동’(12.3%), ‘해외연수’(6.4%), ‘토익’(2.3%) 순
출처 : 취업포털 커리어 www.career.co.kr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첫번째 조사에서 비중이 낮았던 전공학점이 두번째 조사에 전공으로 높게 평가된 것을 보면 여기서 전공은 학점이 아니라 어떤 과목을 배웠는 지 일 것 같습니다. 실제로 미국의 경우에도 학점은 안 중요해도 관련 과목을 수강했는가 여부는 중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 이는 관련 분야를 한 번 접해 본 사람과 처음인 사람은 실제 상황이 닥쳤을 때 느끼는 두려움이나 적응도가 다르기 때문일 겁니다.
인턴의 경우도 맡겨지는 일이 실제 업무하고 약간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, 학교에서 보는 것과 현장에서 느껴지는 차이를 약간이라도 배운다면 그 후에 바뀐 생각이라던가 준비한 것이 다를 것이라 믿기에 점수를 주는 거겠죠.
마지막으로 소홀히 하고 있는 것들은 일은 혼자하는 것이 아니기에 다시 한 번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것입니다. 이 때문에 이력서에 오타가 있으면 다시 안 보는 경우도 생기는 것이고, 그보다도 어떻게 짧은 지면에 상대방이 원하는 것을 전달할 것인가를 평가의 대상이 되는 것일 겁니다.
'이런 저런 생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많은 물들이 가져오는 흙들.. 위대한 역사의 현장 그랜드 캐니언. (0) | 2009.03.21 |
---|---|
상식밖의 경제학 / 그럼 이제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? (0) | 2009.03.07 |
스크루 테이프의 편지/ 곁 길로 새게 하면 돼. (0) | 2009.03.03 |
세 왕 이야기. 더 이상 못 참을 것 같은데! (0) | 2009.02.23 |
블로그의 모듈화? (0) | 2009.01.18 |